‘어렸을 때 누군가가 ’너는 장래희망이 뭐야?‘ 라고 물으면 한 치의 고민 없이 ’선생님‘ 이라고 대답했을 정도로 나는 초등학교 때부터 선생님이 꿈이었다. 어떻게 그런 다짐을 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그때는 이제 처음 학교에 입학하고 만나는 어른이었기 때문에 교사라는 직업이 더 멋있어 보였던 것도 있었고 친구들에게 무언가를 가르쳐줄 때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었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선생님의 꿈을 가지게 되었다.
중학교나 고등학교 때도 꾸준히 같은 꿈을 가지고 공부를 했다. 사실 고등학교 때까지는 구체적으로 고등학교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그 당시에는 누구나 그럴 수 밖에 없겠지만 일단 꿈보다는 대학진학이 우선인 시절이었고 나는 고등학교때 하지만 수능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고 내 꿈과 현실이 충돌하는 첫 번째 순간이었다. 그 때 나 스스로 현실과 조금 타협을 해서 다시 도전을 한 곳이 교대였는데 그 과정에서 꿈을 포기하고 싶었던 적도 많았다. 하지만 힘들고 괴로울 때 인강 선생님이 해주시는 말씀이 정말 힘이 되었다. 그 때이후로 나도 아이들이 힘들어할 때 진심으로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좋은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하고 교대에 들어왔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교대에 입학하고 나서 어떤 교사가 좋은 교사인가? 라는 질문에 더 대답하기 어려움을 느꼈다. ‘좋은 교사가 되자’ 라는 다짐을 하고 입학했고 ‘어떤 교사가 좋은 교사일까?‘ 에 대한 답을 학교생활을 하면서 명확하게 찾아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명확한 답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각자가 어떤 경험으로든 학교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아이들을 접하거나 수업을 듣고 교육과 교사상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자신만의 교사상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1학년 교생실습 때를 돌이켜보면 그저 아이들을 보고만 있어도 귀엽고 좋아서 행복했었다. 하지만 2학년 교육봉사를 갔을 때 2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게 되었는데 아이들은 너무 귀엽고 나를 좋아했지만 직접 수업을 해보니 내가 원하는 만큼 아이들이 따라와주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다. 이 아이들이 한글을 읽을 수 있게 해야 할 책임이 있는데 마음처럼 되지 않다보니 속상했다. 그 때 그저 아이들을 좋아하는 마음만으로는 좋은 교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가르칠 수 있도록 내가 어떠한 노력이라도 더 해봤으면 어땠을까 라는 후회를 하기도 했다.
아직까지는 경험도 부족하고 접해보지 않아서 상황에 따라서 어떻게 변해야하는지는 잘 모르지만 먼저 교사는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야한다. 물론 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생각해보고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생이라는 단어가 먼저 배운 학생이라는 뜻인 것처럼 교사와 학생 사이에 경계선을 치고 역할을 구분하지 않고 아이들의 눈높이로 바라보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함께 걸어 나간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