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보면 나는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는 것을 하나의 목표로 삼고 공부해오지는 않았다. 학창시절 나의 꿈이나 비전은 뚜렷하지도 않고 심지어 어떤 학과에 가야할지도 막연했다. 그저 공부를 해야 하는 거니까 하는 거라고 혹은 친구들과 경쟁에서 이기기위해서 해야 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래서 교대에 온 것도 어찌 보면 가족이나 학교 선생님들의 추천에 많이 영향을 받은 것 같다. 물론 내가 아이들을 좋아하고 또 남들에게 무언가를 알려주는 것을 좋아하긴 하지만 말이다. 그래서 처음 교대에 입학했을 때 단지 대학교에 합격하여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는 자체에 행복감을 느꼈고 교사가 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학교에 들어와서 교육에 관심이 많은 선배님들이나 친구들과 이야기를 해보면서 교사의 역할이 참 중요하고 학생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대생활을 하면서 교사가 되기 위하여 준비를 많이 해야겠다고 느꼈다. 그리고 참관실습을 하면서도 많은 것을 보고 느꼈다. 나는 2학년 학급에 들어갔는데 그 반은 다른 반에 비하여 수업 분위기도 좋고 말썽부리는 아이들도 적었다. 협의 시간에 담임선생님께 그 비결에 대하여 여쭤보았더니 학기 초에 아이들의 분위기를 확실히 잡고 또한 학생들과 관계를 잘 정립해야한다는 것이었다. 똑같은 학년의 아이들이었지만 담임선생님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학생들의 태도나 학습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토대로 나는 교사가 되기 전에, 그리고 교사가 된 이후에도 좋은 교사란 무엇일까 끊임없이 고민하고 또 그것을 준비해야겠다고 느꼈다.
지금까지 경험하고 또 생각해온 것을 바탕으로 내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가 무엇이고 또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한 나의 비전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첫 번째로는 수업을 잘하는 교사이다. 물론 수업만 잘한다고 좋은 교사라고 할 수 없지만 교사로서 첫 번째 갖춰야 할 능력은 가르치는 능력이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수업을 듣고 또 모든 학생들이 집중해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결과적으로도 학생들이 그 내용을 잘 이해했고 또 그것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도 키워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커리큘럼에 따라서 교육학이나 교과교육론 그리고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 같은 수업을 충실히 듣고 또 그것을 어떻게 수업에 연결시킬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해봐야할 것이다. 또 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풍부한 상식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해박하게 설명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교사이다. 수업을 잘하더라도 학생들과 관계가 좋지 않다면 학생들이 수업도 잘 안 들으려고 할 것이고 교사가 지시하는 것에도 잘 따르지 않을 것이다.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 수업하기도 한결 수월하고 또한 학급 분위기 역시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아이들의 마음을 잘 이해할 수 있어야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단지 교사의 입장에서만 아이들을 바라보면 아이들과 소통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아이들의 말을 다 들어주고 아이들과 의 관계에 있어서 선을 지키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좋은 모습은 아닐 것이다. 이 말은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되 권위는 잃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바른 인성을 길러주어서 건전한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사이다. 학생들이 아무리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성이 부족하거나 뚜렷한 가치관 그리고 올바른 인성이 갖추어 있지 않다면 사회에 나가 적응하기 힘들 것이다. 아이들에게 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수업 시간 뿐 아니라 다른 시간에도 학생들에게 교사로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 이는 말투 같이 사소한 것에서부터 다양한 것을 포함하면서 학생들에게 무의식중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이 이를 내면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잘못된 언행을 했을 때 그것을 바로 잡고 왜 그것이 잘못되었는지 그리고 다음부터 그와 같은 행동을 하지 않도록 지도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나 스스로도 다양한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아이들에게 이러한 가치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해야겠다고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