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서울대 박사학위논문(2002)

미래 교육 2008. 3. 7. 14:05

박상준,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 첨 부: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박사논문 2002년.pdf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

-규칙 따르기로서의 사회적 행위를 중심으로-


 Civic Education Based on Action Disposition

  - Centered on Social Action as Rule-Following -


         지도교수: 손 봉 호

 

     2002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일반사회전공

   박   상   준

 

 

<초 록>

   시민교육의 대표적 모형 중의 하나인 합리적 의사결정모형은 “사고-행위의 일치” 가정 속에서 개인의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교육목표로, 의사결정에 필수요소로서 사회과학적 지식을 교육내용으로 강조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의사결정이 실제의 상황에서 곧바로 사회적 행위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추상화된 사회과학적 지식은 구체적인 사회적 행위를 지시해주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이 모형은 본래의 목적과 달리 규칙에 따라 사회적 행위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시민을 기르는데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그 원인은 이 모형이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적 행위와 시민교육에 접근한 것에 찾을 수 있다.

   개인주의적 관점은 “고립된 개인”을 가정하고, 개인이 합리적인 사고를 통해 행위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 관점은 사회적 행위의 수행에서 “사회적 요소”-사회적인 관계, 의미, 상황, 공적 규칙 등-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 결국 이 관점에서는 일상적인 사회적 행위가 실제로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반면에 개인주의적 관점과 달리, 사회맥락적 관점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로 파악하고, 규칙 따르기(rule-following) 의 측면에서 일상적인 사회적 행위의 특성을 잘 드러내었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과 규칙준수개념, 윈치의 사회적 행위 설명을 도입하여, “일상적인 사회적 행위는 공적 규칙에 따라 수행된”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또한 필자는 서얼의 규제적 규칙과 구성적 규칙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행위의 수행에서 규칙은 다양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런 사회맥락적 관점에 따르면, 어떤 행위가 동일한 종류의 상황에서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다른 사람들도 그 규칙에 의거해 그의 행위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그 행위에 대한 당연한 반응양식이 이미 정해져 있고, 사회적 관행 또는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사회적 행위는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행위의 수행에서 규칙은 새로운 행위의 방식을 규정하거나 구체적인 행위를 지시해주고,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하며, 사회적 행위를 억제하거나 장려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필자는 슈츠의 생활세계, 기든스의 관행적 의식과 상호지식, 가핑클의 위반실험, 심리학의 동조압력과 동조행위 같은 개념을 도입하여, “일상적인 사람들은 “암묵적 이해”의 상태에서 “관행적으로” 규칙에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개인주의자들이 주장한 것처럼, 합리적 개인들이 반성적 의식의 상태에서 사회적 행위를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일상적인 생활세계는 구성원들에게 이미 주어지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 세계이며, 규칙은 사람들의 암묵적 이해 속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따르는 규칙에 대해 말로 분명하게 제시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 채 “관행적으로” 규칙에 따른다.

   이와같은 일상적인 사회적 행위의 특성을 고려할 때, 훌륭한 시민을 길러내기 위해서 시민교육은 사회적 행위와 규칙 준수를 중심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은 사회적 행위와 규칙을 가르침으로써 규칙에 따르는 성향을 습득시키고, 그러한 사회적 행위와 규칙에 대하여 평가하고 재구성하는 반성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통합하는 것이다. 즉, 행위의 교육을 중심으로 사고의 교육을 결합하는 것이다. 행위의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체험훈련과 연습을 통하여 “규칙을 준수하는 성향”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고의 교육은 “일반적인” 사회적 행위와 규칙에 대해 반성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위와 규칙을 반성하여 수정하는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은 개인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를 연결하고, 사회에서 요구되는 행위와 개인의 사고를 결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훌륭한 시민을 육성하는데 더 많은 이점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은 윤리적 덕과 지적 덕의 통합을 강조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목론, 지성의 교육과 행위의 교육의 결합을 주장했던 프랑케나의 도덕교육론, 인지심리학의 연구들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 주요어: '사고-행위 일치 가정', '지식-실천 일치 가정', 사회적 행위, 규칙 따르기,

                  생활세계,  관례화, 관행, 행위 성향, 덕, 실천적 지식, 체험, 반성적 사고,

                  반성적 규칙 준수자


[ 목  차 ]

 국문초록

Ⅰ. 서      론  ․․․․․․․․․․․․․․․․․․․․․․․․․․․   1

    1. 연구 문제  ․․․․․․․․․․․․․․․․․․․․․․․․․․   1

    2. 논문의 구성  ․․․․․․․․․․․․․․․․․․․․․․․․․   4

    3. 사회적 행위의 개념 정의  ․․․․․․․․․․․․․․․․․․․   7


Ⅱ. 인지능력 중심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행위  ․․․․․․․․․․․․․  12

    1. 인지능력 중심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행위   ․․․․․․․․․․․  12

       1) 인지능력 중심의 시민교육     ․․․․․․․․․․․․․․․  12

       2) 합리적 의사결정모형의 시민교육    ․․․․․․․․․․․․․  15

    2. 합리적 의사결정모형의 한계   ․․․․․․․․․․․․․․․․․  17

       1) 사고-행위의 일치 가정   ․․․․․․․․․․․․․․․․․․  18

       2) 사회과학 중심의 교육과정  ․․․․․․․․․․․․․․․․․  22


Ⅲ. 사회적 행위에 대한 개인주의적 접근  ․․․․․․․․․․․․․․․  25

    1. 개인주의적 관점의 기본틀:인간과 사회의 관념  ․․․․․․․․․  25

    2. 개인주의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행위의 이해   ․․․․․․․․․․  30

       1) 베버의 사회적 행위의 설명과 한계    ․․․․․․․․․․․․  32

       2) 하버마스의 사회적 행위의 설명과 한계    ․․․․․․․․․․  39


Ⅳ. 사회적 행위에 대한 사회맥락적 접근    ․․․․․․․․․․․․․․  48

    1. 사회맥락적 관점의 기본틀:인간과 사회의 관념  ․․․․․․․․․  48

    2. 사회맥락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행위의 이해   ․․․․․․․․․․  54

       1)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따르기의 개념   ․․․․․․․․․․․․  54

       2) 윈치를 넘어:규칙과 사회적 행위의 연결 ․․․․․․․․․․  57

       3) 서얼의 규칙 분류:규제적 규칙과 구성적 규칙  ․․․․․․․․  61

    3. 규칙 따르기로서의 사회적 행위    ․․․․․․․․․․․․․․․  64

       1) 사회적 행위의 특성:규칙 따르기  ․․․․․․․․․․․․․․  64

       2) 사회적 행위에서 규칙의 역할   ․․․․․․․․․․․․․․․  73

Ⅴ. 사회적 행위의 배경과 관례화   ․․․․․․․․․․․․․․․․․․  78

    1. 사회적 행위의 배경:생활세계와 암묵적 이해  ․․․․․․․․․․  78

       1) 사회적 행위와 생활세계의 일상성  ․․․․․․․․․․․․․    79

       2) 사회적 행위와 암묵적 이해  ․․․․․․․․․․․․․․․․    81

    2. 사회적 행위의 관례화    ․․․․․․․․․․․․․․․․․․․    89


Ⅵ.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행위   ․․․․․․․․․․․․    97

    1.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의 성격:행위와 사고의 통합    ․․․․․․    97

    2.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   ․ ․․․․․․․․․   102

       1)아리스토텔레스:윤리적 덕과 지적 덕의 통합   ․․․․․․․․   102

       2)프랑케나:지성의 교육과 행위의 교육 통합   ․․․․․․․․․   107

    3.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의 정당화   ․․․․․․․․․․․․․   111

       1) 개인과 사회의 연결   ․․․․․․․․․․․․․․․․․․․   111

       2) 사고와 행위의 연결   ․․․․․․․․․․․․․․․․․․․   114

    4.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의 기본구조   ․․․․․․․․․․․․   116

       1) 교육의 목적:반성적인 규칙 준수자   ․․․․․․․․․․․․   116

       2) 교육의 내용    ․․․․․․․․․․․․․․․․․․․․․․   124

            (1) 행위의 교육의 정당화   ․․․․․․․․․․․․․․․   124

            (2) 행위의 교육 프로그램   ․․․․․․․․․․․․․․․   126

            (3) 사고의 교육 프로그램   ․․․․․․․․․․․․․․․   130

       3) 교육의 방법    ․․․․․․․․․․․․․․․․․․․․․․   132

            (1) 행위성향은 가르칠 수 있는가    ․․․․․․․․․․․   132

            (2) 행위의 교육:고통 체험과 훈련     ․․․․․․․․․․   137

            (3) 사고의 교육:토론수업   ․․․․․․․․․․․․․․․   139

       4) 교육 환경      ․․․․․․․․․․․․․․․․․․․․․․   141

            (1) 정의로운 학교 공동체의 필요  ․․․․․․․․․․․․   141

            (2) 학교문화의 개혁  ․․․․․․․․․․․․․․․․․․   145

       5) 교사의 역할  ․․․․․․․․․․․․․․․․․․․․․․․  147


Ⅶ. 결     론   ․․․․․․․․․․․․․․․․․․․․․․․․․․․  150

    1. 요약 및 제언   ․․․․․․․․․․․․․․․․․․․․․․․․  150

    2. 반론 및 응답   ․․․․․․․․․․․․․․․․․․․․․․․․  153

 참고문헌 / Abstract  ․․․․․․․․․․․․․․․․․․․․․․․․  157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박사논문 2002년.pdf
1.1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