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영향을 준 선생님이 계실까? 나의 기억에 남는 선생님은 어떤 분이셨고, 왜 기억에 남았을까?’
나에게 있어서 교사의 비전의 가장 큰 목표는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친 선생님”으로 기억이 되는 것이다.
교사를 바라보는 여러 가지 시선이 있다. 더군다나 지금처럼 교사의 입지에 대해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존재하는 이 시기에는 더 더욱이 교사 본인의 비전이 중요한 것 같다. 그러기에, 나의 비전에 대한 생각이 더 많아졌던 것 같다. 그래도 생각한 것이, 교사의 첫 관계는 교실 안에서의 수업을 통해 형성되는 학생과의 관계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의 가장 큰 비전은 학생들과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그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무조건 공부를 잘 가르치는 선생님, 항상 착한 선생님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작해서 부모 같은 마음으로 아이들을 바라본다면, 아이들이 어떻게 하든, 무엇을 하든 품어줄 수 있을 것 같다.
교대에 들어와 2번의 교생실습을 했다. 비록 일주일씩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아이들의 모든 모습을 관찰하고 아이들이 모습 자체를 사랑으로 바라보는 게 힘들다는 걸, 일찍이 깨달았다. 사실, 현장에 있으면 정말 힘든 일이 많을 거라는 걸, 지금까지의 2주간의 실습에서 알아버렸다. 그래도 다행인 건 내가 아이들이 좋아 교대에 와서 선생님이라는 직업을 갖기 위해 지금까지 배우고 있다는 거다. 만약 내가 정말 흔히들 말하는, 안정적인 직장으로서 교사가 되기 위해 왔다면 어쩌면 PD라는 꿈을 접고 교대에 들어온 나를 후회했을 것 같다. 하지만 한 개인의 삶으로 봤을 때, 그 사람의 인생에 있어서 큰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 가족이나 친구 말고 또 다른 사람이 있다면 바로 ‘선생님’일 수 있다는 것에 매력을 느꼈다.
나의 두 번째 비전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교사’다. 사실 내가 처음 수능을 보았을 때, 교대가 아닌 다른 대학교를 택했던 이유 중 하나는 ‘교사의 안정적인 위치로부터의 나태함’의 모습이랄까. 물론 이건 나의 비논리적인 생각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공무원의 신분의 선생님이라는 위치 자체가 다른 직업에 비해 안정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보이는 많은 모습들이 아닐까 싶다. 나는 끊임없이 자기 계발을 하는 교사가 되고 싶다. 개인적인 발전이든, 교사의 모습으로서의 발전이든, 현재에 머무르지 않고 자기 계발을 열심히 한다면, 아이들에게도 그 ‘열심’이라는 모습을 보여주기에 아이들도 나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에게는 직접적인 학습도 중요하지만 간접적인 학습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걸 안다. 나 또한 어렸을 때, 선생님들의 간접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뭔가에 열심이어야 아이들에게도 “열심히”라는 단어를 쓸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 당장은 대학원을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가지 않을 거란 것은 아니다. 언젠가 내가 열심히 하다보면 대학원의 필요성을 느끼면 가고 싶다. 그러기에 나는 교사로서의 모습을 끊임없이 다듬기 위해 열심히 자기 발전을 하는 교사가 되고 싶다.
나의 마지막 비전은 다양한 경험을 하고, 다양한 경험으로 아이들의 시각을 넓혀주는 선생님이 되고 싶다. 내가 가장 슬프다고 생각하는 모습은 공부만을 강요하는 선생님의 모습이다. 물론 옛날이야 공부를 잘해야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았기 때문에, 이전 세대에 대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지금의 시대는 너무나 많이 바뀌었다. 직업도 많이 생겼고, 아이들의 재능도 무궁무진하다. 나는 초등학교 선생님이 될 것이다. 아직 싹트지도 않은 아이들에게 “이것만”이라는 하나의 길을 요구하고 싶지 않다. 아직 싹 트지 않은 아이들에게 햇빛의 광대함을 보여주고 싶다. 그러기 위해선 교사인 나 먼저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전 대학에 있을 때, 해외봉사활동으로 필리핀, 약 3개월 간의 어학연수로 뉴질랜드에 가본 적이 있다. 여행을 통해서 나의 많은 시각이 넓혀졌고, 나의 눈이 뜨이기 시작했다. 그제 서야 어른들이 하신 말씀이 이해가 되었다. 언젠가 나에게 “여행을 많이 다녀서 우물 안의 개구리가 되지 말아라.”라는 삼촌의 말씀이 떠오른다. 어린 나에게는 ‘여행’이란 단지 돈 들이고 좀 더 새로운 곳으로 놀러가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나의 경험으로 나만의 착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행이 준 첫 번째 깨달음이었다. 물론 단지 여행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문화 체험, 배움 등의 여러 경험을 통해 아이들의 또 다른 시선으로서의 교사인 내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제 3학년인 내가 생각하는 비전은 여기까지이다. 앞으로 교사로서의 나의 삶은 지금까지 해온 만 2년 보다 몇 십 배, 몇 백 배가 될 테니 더 많은 비전이 생길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의 최종 목표는 나의 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