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고 교대에 들어온 지 어느덧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교생실습도 다녀오고 여러 교수님들의 강의도 들으면서 학교를 다녔는데, 정작 미래에 내가 어떤 교사가 될 것인지 깊이 생각해본 적은 없는 것 같다. 불과 2년 후면 내가 누군가를 가르치는 교사가 되어있을텐데 어떤 교사가 될 것인지 고민해보지 않았다는게 부끄럽다.
그렇다면 나는 미래에 어떤교사가 될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았을 때 내 머릿속에는 중학교 3학년 때 담임선생님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 당시 나는 여러 가지 일 때문에 학교생활을 하는데 힘이 많이 들었는데 그때 담임선생님께서 나에게 많은 도움을 주셨다. 선생님께서는 아이들 앞에서 나의 장점에 대해 칭찬해주셨고 시험대비 문제집도 사주시면서 나에 대한 격려와 용기의 말을 계속해서 해주셨다. 선생님의 기대와 격려에 부응하기위해 나는 마음을 다잡고 학업에 열중했고 덕분에 원하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것과 더불어 교사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되었다. 생각해보면 내가 지금 이 자리에 있는것이 그 선생님 덕분이다.
이처럼 나는 미래에 교사가 된다면 소통하는 교사가 되고 싶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소통이란 거창한 것이 아니라, 내가 경험했던 것처럼 아이가 힘든 일이 있으면 그 상황에 대해 격려와 용기를 넣어주고 따뜻한 말과 행동을 통해 그 아이가 그 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조력해주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 아이에게 꿈을 심어주고 아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다. "한명의 교사가 바로서면 1000명의 아이들이 행복하다"는 말처럼 나는 한명의 바로선 교사가 되어 아이들에게 용기와 격려를 해주고 그 아이를 변화시키는 교사가 되고 싶다.
다음으로 나는 아이들 속에 있는 교사가 되고 싶다. "교사는 아이들 속에 있을 때 아름답고 행복하다."라는 말을 본적이 있다. 만약 교사가 아이들속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교사라는 직업을 단순히 돈을벌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할 것이고, 아이들을 귀찮은 존재라고 생각할 것이며 이는 결국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불행을 가져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돈을 벌기위한 수단으로서의 교사가 아닌 아이들 속에 있는 행복한 교사가 되고 싶다. 그렇다면 아이들 속에 있는 교사란 무엇일까? 그것은 위에 말한 소통과 연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아이들은 사소한 일 하나 까지 선생님과 얘기하고 싶어하고 교사의 행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교사로서 나는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존재로 있기보다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면 아이들 속에 있는 교사, 행복한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