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시민교육 11

위드 코로나 시대(코로나 일상화 시대),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위드 코로나 시대(코로나 일상화 시대),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은? 충남교육청연구정보원의 초대로 코로나 일상화(with corona) 시대에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현장 선생님들이 발표에 대해 예리한 논평을 해주시고, 학교 현장에 적합한 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해 좋은 의견을 전해 주셔서 함께 토론하면서 오히려 제가 더 많이 배웠습니다. 또한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 생태주의, 디지털 사회 등의 관점에서 새롭게 민주시민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안목과 통찰력을 얻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1. 코로나 이후 미래 사회의 변화 양상 :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 2.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실 3. 위드 코로나 (코로나 일상화) 시대에 민주시민..

강의 자료 2021.10.30

2020 세종도서 선정 -〔역사와 함께 읽는 민주주의〕

2년 동안 역사적 자료에 근거해 민주주의에 대한 책을 쓰려 노력했는데, “교양 부문”에서 우수 도서로 임정받아 〔2020 세종 도서〕에 선정되었습니다. 학교도서관이나 시군 도서관에 신청해서 많은 사람들이 읽도록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에 대해 많은 역사적 자료와 통계에 기초해 바로 알려줍니다. 보수 진영이 주장하듯,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광복 후 미국에 의해 도입된 것(건국절 논란)이 아니라 우리의 힘으로 자생적으로 발전해왔다는 사실을 역사적 자료에 의거해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민주주의와 다른 정체의 구별 기준과 특성,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정도, 다수결, 선거와 돈, 미디어와 민주주의 위협, 미래 사회에서 민주주의의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많은 사례와..

저서 (책) 2020.07.29

민주 공화제의 사상적 기원 : 동학농민운동, 독립협회, 신민회, 3ㆍ1운동을 중심으로

전주교대「초등교육연구」제29집 1호. 2018.6. 박상준(전주교대 사회교육과) 이 논문은 민주 공화제의 사상적 기원을 고찰하고, 민주 공화국의 발전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민주정과 공화정은 서로 다른 정치체제인데, 둘을 결합한 민주 공화제 또는 민주 공화국은 서양에서 찾아보기 어렵고,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과 역사를 통하여 독특하게 형성되어 온 정체이다. 그래서 정체로서 민주 공화제가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는지 사상적 기원을 고찰하여 민주 공화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역사의식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민주 공화제라는 용어가 직접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민주 공화국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념은 동학농민운동, 독립협회, 신민회, 대동단결선언, 3ㆍ1운동..

논문 (학술지) 2020.05.25

우리나라 민주 공화국의 발전과정 탐색

출처: 전주교대 「초등교육연구」제30집 1호. 2019.6. 박상준(전주교대 사회교육과)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민주 공화국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역사, 정치사상, 헌법의 측면을 통합해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기초하여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민주 공화국은 서구사회에서 전파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과 역사를 통해 고유하게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정치체제이다. 17세기 중반 공화제가 처음 소개되었고,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독립협회, 신민회 등이 세습 군주제를 개혁하는 대안으로 공화제를 주장하였다. 독립운동 세력들이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면서〈대한민국 임시헌장〉에서 새로운 국가의 정체로 민주 공화제를 공식 채택하였다. 그 후 민주..

논문 (학술지) 2020.05.25

선거권 연령 조정 및 선거교육의 개선 방안-법과인권교육연구 13(1)-2020년

[법과인권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2020. 4. 30.) # 논문 첨부: 선거권 조정 및 선거교육 개선방안-법과인권교육연구 13(1) 2020년.pdf 선거권 연령 조정 및 선거교육의 개선 방안 박 상 준(전주교대 사회교육과) [차 례]Ⅰ. 문제 제기 Ⅱ. 선거권 연령의 변천 과정Ⅲ. 선거권 연령 낮추기 관련 논란Ⅳ. 선거교육의 개선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연구 요약] 이 논문은 18세 선거권 부여에 따라 선거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선거권 연령을 낮추는 것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2019년 12월 18세 이상 국민에 선거권을 부여하는 공직선거법이 가결되었다. 18세 선거권은 청소년을 시민으로 인정하고, 정치의 주체로서 정치과정에 참여할 권리를 부여한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은 시민으로서..

논문 (학술지) 2020.05.18

[선거방송]우리나라 선거의 역사-보통선거/평등선거, 18세 선거권, 공정 선거, 민주주의

우리나라 선거의 역사 [한국선거방송]에 출연해 우리나라 선거제도의 역사에 대해 소개 한 프로그램입니다. * 일시: 2020. 4. 13. ~ * 프로그램: 〈한 표의 가치〉 * 방송: 한국선거방송(etv.go.kr) * 방송 내용 : - 우리나라는 1948년 5월 제헌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5.10 총선거 에서 최초로 "21세 ..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민주시민교육, 학교자치, 미디어리터러시, 선거교육

박상준, 역사와 함께 읽는 민주주의. 한울. 2020. 이 책은 그림, 자료, 통계를 통해 민주주의를 쉽게 풀어 설명해 준다. 민주주의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을 바르게 알려주고, 18세 선거권, 학교 자치, 민주시민교육, 디지털 민주주의, 미디어(SNS), 돈과 민주주의 관계 등을 쉽게 설명하..

저서 (책) 2020.03.15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 - 사회과교육연구 19(3) - (2012)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12.8.), pp.11-28. # 첨 부 :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 사회과교육연구 19(3)- 2012.pdf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 -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에서 - - 박 상 준 - < 요 약 > 이 논문은 현대 시민사회..

논문 (학술지) 2017.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