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정말 사랑하는가?
- 설교: 박상준 교수(2007. 4) -
▶ 성경: 마태 22장 36~40절
< 도 입 >
1. 세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
보통 진정한 사랑에 대해 얘기할 때,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을 말한다. 누가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나를 사랑해 준다면, 정말 행복하겠지요?
2. 다니엘 헤니가 여러분을 좋아하니까 사귀자고 하면, 또는 이효리가 여러분을 좋아하니까 사귀자고 하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겠는가? 너무 좋고 행복하겠지요?
그런데 다니엘 헤니와 이효리보다 더 멋지고 근사한 분이 여러분을 사랑하니까 사귀자고 하신다. 얼마나 좋고 행복하겠어요? 그 분은 바로 하나님이다.
Ⅰ. 하나님의 사랑
1. 하나님은 정말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와 사귀고 싶어하신다.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한다는 표시로 수천 통의 연애편지를 보냈다.
하나님이 여러분에게 보낸 연애편지는 바로 “성경”이다. 하나님은 여러분을 사랑한다는 편지를 수 천통이나 보냈는데, 그것을 모아 놓은 것이 성경이다.
그런데 왜 여러분은 답장을 하지 않는가? 하나님은 여러분을 짝사랑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여러분을 너무 좋아하셔서 사귀고 싶어 하신다.
2. 하나님이 수천통의 연애편지를 보내고 우리를 사랑한다고 말했는데, 우리는 편지도 읽지 않고 전혀 반응이 없다. 하나님이 답답하시니까, 친히 자신의 아들 예수를 보내서 우리를 사랑한다는 말씀을 직접 전해 주셨다. 그래도 안 믿으니까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게 해서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셨다.
(1)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는 증거
“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 (요 3:16)
“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 (롬 5:8)
Ⅱ. 하나님을 사랑하는 과정
1. 이처럼 하나님은 자기 아들을 죽게 할 정도로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와 사귀기 를 원하신다. 그러면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리가 하나님과 사귀는 방법은 우리가 이성친구와 사귀는 방법과 비슷하다.
2. 연애의 과정을 생각해보라!
1단계 : 상대방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자주 만난다. 그리고 만날 때마다 맛있는 것 사주면서 상대방의 마음을 사 로잡기 위해 노력한다.
2단계 : 상대방을 그리워한다
책을 펴도 애인 얼굴이 떠오르고, 수업시간에도 선생님 말씀은 안 들어오고 애인 생각이 난다. 좋은 것(맛있는 음식, 멋진 옷, 멋진 카페)을 보면, 애 인이 생각나서, 사다 주고 싶어진다. 애인에게 주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3단계 :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한다
상대방을 정말 사랑한다면,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해서 그대로 하 려고 노력한다. 상대방이 공부 열심히 하는 것을 원하면 뒤에서 1등하던 학 생도 열심히 공부하게 되고, 교회 안 다니던 학생도 교회에 나온다. 상대방 이 술 마시고 담배피는 것을 싫어하면, 당장에 끊어버린다.
3. 예화: 사자와 소의 사랑 이야기
(1) 사자와 소는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첫눈에 사랑에 빠져서 결혼했다. 그런데 얼마 후에 이혼했다. 왜 그럴까? 사자는 소를 너무 사랑해서 자기가 잡은 동물 중에 가장 맛있는 고기를 소에게 주었고, 소는 자기가 모은 풀들 중에 가장 신선하고 좋은 풀을 사자에게 주었다. 그런데 서로 그것을 먹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자와 소는 서로 가장 좋은 것을 갖다 주었는데 왜 안 먹느나며 싸우다가, 결국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이혼했다.
(2) 사자와 소의 사랑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사자와 소는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몰랐다. 그래서 결국 사랑에 실패했다.
4.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과정도 이와 비슷하다.
Ⅲ.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단계: 하나님을 자주 만나서 하나님에 대해 알고자 한다.
하나님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방법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보낸 연애편지, 즉 “성경”을 자주 읽는 것이다. 성경에 보면 하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자세히 설명해 놓았고,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세히 적어놓았다.
(1) 성경
“ 여호와께서 내 음성과 내 간구를 들으시므로 내가 저를 사랑하는도다 ” (시편 116:1)
“ 너희가 내 안에 거하고 내 말이 너희 안에 거하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리라 ” (요 15;7)
2단계: 하나님을 그리워하고 열심히 찾는다
(1) 우리가 정말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하나님을 매일 그리워하고 대화하고자 한 다. 밥 먹다가도 생각나고, 좋은 것을 보면 하나님께 드리고 싶어진다.
(2) 성경
“ 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 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 하니이다. 내 영혼이 하나님을 갈망하나니” 시편 42: 1~2
3단계: 하나님이 원하는 것을 하고자 한다
# 우리가 하나님을 정말 사랑한다면,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해서 그대로 하려고 노력한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
(1) 하나님을 사랑하면 하나님의 계명(명령)을 지킨다.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요구하시는 것이 무엇이냐? 곧 네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여 그 모든 도를 행하고 그를 사랑하며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고, 내가 오늘날 네 행복을 위하여 네게 명하는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를 지킬 것이 아니냐 “ (신명기 10:12~13)
" 너희가 나를 사랑하면 내 계명을 지키게 될 것이다 “ (요한 14:15)
" If you love me, you will obey what I command.“
“ 나의 계명을 가지고 지키는 자라야 나를 사랑하는 자니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요 나도 그를 사랑하여 그에게 나를 나타내리라 ” (요한 14: 21)
4. 하나님의 계명은 무엇인가?
(1) 우리 마음, 뜻, 목숨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마태 22:37/신명기 10:12)
“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마태 22:37)
(2) 네 이웃을 사랑하라 (마태 22:39)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그 증거로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섬기고 도와주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 (마태 22:39)
“ 내 계명은 곧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하는 이것이 니라 ” (요한 15:12)
5. 우리가 서로 사랑해야 할 대상과 방법은 무엇인가?
# 우리가 하나님을 정말 사랑한다면, 정말 사랑한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그 증거를 보여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1)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는 첫 계명은 부모의 공경이다.
“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계명이니”(에베소 6:2)
( 부모님의 말 “일찍 일어나라, 운동 좀 해라, 공부해라, 네 방 청소해라” 등이 잔소리로 들리는가? 그 말을 잔소리로 듣지 말고, 왜 그런 말을 할까 한번 이해하려고 노력해보라.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해보고, 부모님을 이해하려고 노력해보라.)
(2) 우리 주변 사람들을 섬기는 것이다.
“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 (누가 10: 36-37)
① 주변 사람들을 섬겨라. 내가 남보다 잘 하는 일을 통해 도와주면 된다. 또는 내가 남보다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을 조금 나누어 주면 된다. 여러분 주변에 나보다 공부를 못하는 학생이 있다면, 공부를 못한다고 무시하고 왕따시키지 말고, 같이 공부하면서 공부하는 법을 좀 가르쳐 주라.
② 주변에 여러분보다 어려운 사람이 있다면 도와주라:
③ 학교생활에서 다른 학생들을 섬기라: 학교 생활을 하다보면, 남들이 하기 싫어하는 일들이 있다. 예를들면 화장실 청소, 늦게 남아서 선생님 일 도와드리기 등등 그런 일을 여러분이 스스로 자원해서 먼저 하라
Ⅳ. 결론: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그 증거를 보여주라
1. 나의 마음, 뜻, 목숨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
2. 나의 부모님과 주변 사람들을 섬기라.
'나의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이여, 비전을 품으라 (0) | 2008.03.07 |
---|---|
믿음이 있는가? (0) | 2008.03.07 |
지도자의 자질 (0) | 2008.03.07 |
기도: 최후의 수단이 아니라 최우선의 것 (0) | 2008.03.07 |
나의 생각과 하나님의 생각 차이 (0) | 2008.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