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부터 나의 꿈이 무엇이냐고 누군가가 물어보면 주저하지 않고 선생님이라고 대답했었다. 왜, 언제부터 이 꿈을 갖게 되었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내 머리에는 ‘나의 꿈 = 선생님’이라는 공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렇게 막연히 꿈을 갖고 있다가 진로를 결정해야 할 때가 왔다. 공식에 사로잡혀 있던 나는 그때가 되어서야 의문을 품게 되었다. 나의 꿈은 정말 선생님인가? 그래서 생각을 해봤다. 생각 끝에 나온 결론은 ‘나는 누군가를 가르칠 때 느껴지는 뿌듯함을 좋아하기 때문에 교사를 꿈으로 정하자’였다. 난 단지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이 좋아 교대에 들어왔다. 그러나 교대 생활을 하면서 단지 가르치는 것에 대한 좋아하는 마음 하나 가지고는 선생님이 될 수 없다는 게 느껴졌다. 교사가 되기 위해선 요구되어지는 능력들이 있어야 ! 하는데 나에게는 없는 능력들이 많았다. 그러다보니 자꾸 내가 교사가 되기로 한 것이 정말 잘한 일인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러다가 교생실습을 가게 되었다. 처음으로 만나보는 아이들이 어색했다. 하지만 점점 스스럼없이 다가오는 순수한 아이들이 귀여워지고 예뻐 보였다. 아이들의 질문에 대답해주고 가르쳐주면서 느껴지는 뿌듯함이 내가 이 걸 좋아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주었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지내면서 내가 아이들과 잘 놀아주고 교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 갖게 된 생각은 내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불안해하지 말고 내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잘 살리자는 것이었다. 앞서 언급한 아이들과의 교감능력과 내가 갖고 있는 예, 체능 능력을 이용한다면 어떤 사제관계보다 끈끈한 관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점심시간에 아이들 모두와 어울려 할 수 있는 놀이를 한다거나 음악을 함께 감상하거나 음식을 함께 만들면서 말이다. 이런 시도들을 통해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정을 나누고 무한한 사랑을 주면서 아이들에게 오래도록 따뜻한 선생님으로 기억되고 싶다.
5년후
아마 선생님이 된지 얼마 되지 않은 때라 의욕이 넘쳐 여러 가지를 시도하고 익히고 있을 것 같다. 아이들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앞서 말했듯이 점심시간과 방과 후 시간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등에 대한 고민에 대해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내 나름대로의 해결방안을 찾고 있을 것 같다.
10년후
이때는 어느 정도 학교생활에 익숙해지고 나름대로의 노하우도 갖게 되면서 여유시간이 많아 질 것이다. 그래서 그 여유시간을 이용해 대학원을 다니면서 더 공부를 할 것이다. 지금은 사회과를 전공하고 있지만 실과, 음악, 체육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고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욕심이 있기 때문에 대학원은 이쪽 분야로 갈 듯 싶다. 대학원에서 공부한 것들과 수업을 연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있지 않을까..
20년후
이 때쯤이면 학교생활에 익숙할 대로 익숙해져지고 가정을 갖고 있을 때라 아이들에게나 수업에 소홀해지기 십상인 때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항상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아이들에게 항상 밝은 미소를 띠우며 인사하고 같이 쉬는 시간을 보내는 등 소홀 할 수 있는 일들에 더욱 심혈을 기울일 것이다.
30년후
교생실습을 하는 동안 의아하게 여겼던 것 중에 하나가 왜 실습을 참관하는 학급의 담임선생님은 항상 젊을까하는 것이었다. 나이 많으신 선생님들이 귀찮고 힘들어서 참관을 거부하신다고 하셨다. 하지만 나이 많으신 선생님들은 교직생활을 오래 하신만큼 젊은 선생님들에게선 배울 수 없는 교육에 필요한 노하우들을 많이 갖고 계실 것이다. 그래서 교생실습을 하면서 나이 많으신 선생님들을 만나보지 못한 게 아쉬웠다. 따라서 나는 30년 후이란 긴 교직생활동안 얻게 된 노하우 등을 젊은 교사들에게 알려주고 예비교사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