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선언

윤리교육학과 황인원

미래 교육 2009. 5. 31. 18:01

 교대에 들어온지 어느 덧 2년을 훌쩍 넘어 3년째를 향해 달려나가고 있다.

그 동안 교대에서 내가 배운 것은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고, 어떤 마음으로 가르쳐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것보다는 수업 모형이나 교육학자에 대해서 줄곧 배워 왔던거 같다. 그 과정 속에서 스스로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끝임없이 묻고 답하는 시간은 별로 없었던거 같다. 오늘 난 교직에 나가기 전 어떠한 선생님이 될지를  생각해 보며 앞으로 남은 교대 생활 또한 그 생각에 맞게 열심히 노력해야 겠다는 각오를 다져본다.  

 난 초등학교 때 아이들은 자신의 꿈을 실현 할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고 생각한다.

운동이든 공부든 뭐든 아이들이 꿈을 실현 하고자 하는 초석을 초등학교 때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아이들이 무엇에 흥미가 있고, 재능이 있는지를 관찰하고 발굴해 내는 것이 교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내 초등학교 시절에 자유롭게 많은 것을 접해 보지 못하고 단순히 남들 하는 것 처럼 학원에 다니고 공부에만 매진하며 지냈던게 조금은 후회가 된다. 이론상 우리는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여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 교육과정에선 자신의 적성을 찾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그 적성을 향해 노력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난 아이들에게 자신이 잘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나와 함께 공부하고 1년을 마치는 순간에는 모든 아이들이 가슴에 한 가지씩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고 싶다.  또한 단순히 아이들에게 임용고사를 위하여 암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해 두해가 지나 익숙해진 노화우를 가지고 가르치는 교사가 되고 싶지 않다.

고등학교 때 존경했던 국어 선생님은 매년 새해가 되면 그 해를 위한 노트를 준비하신다고 하셨다. 새로 준비한 그 노트에 아이들에게 가르칠 내용을 스스로 새롭게 정리하신다고 하셨다. 그렇게 매해 새로운 아이들에게 새로운 내용을 가르쳐 주시고자 노력하신다는 것이었다. 나 또한 처음 섰던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교사가 되기 보다는 변화되어가는 시대에 맞게 하루하루 변해가는 아이들의 특성에 맞게 함께 발맞추어 변화해 나가는, 노력하는 교사가 되고싶다.


5년 후 모습 교사가 된 후 난 1년을 교사로서 보낸 후 군대에 다녀왔을 것이다. 군대에서 2년 이 조금 넘는 시간을 보낸 뒤 마음을 다스리고 다시 교직에 복귀 할 수 있는 시간을 짧게 가진 후 다시 교직에 복귀해 있을 것이다. 처음 교직에 나갔을 때의 설레임을 기억하며 다시 교직에 적응하고 아이들의 모습을 이해하고 아이들과 좀 더 가까운 선생님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을 것 같다. 아직 젊은 나이기에 아이들에게 선생님의 위엄으로 다가가기 보다는 수업이 끝난 후에는 삼촌과 같은 편안함으로 아이들과 함께 하고 싶다. 하지만 교사는 아이들에게 험한 존재로써 아이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교육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마 엄한 선생님과 자애로운 선생님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고 있을 것이다. 

10년 후 모습 교사로서 생활한지 10년이 훌쩍 넘은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어떤 교사로서 남을 것인가를 정립할 시기라고 생각한다. 평교사로서 아이들과 함께 현장에서 함께 숨쉬는 교사가 될 것인지 아니면, 승진을 하여서 교육체계에 대하여 변화를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교직원이 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난 교직원으로 남고 싶다. 이번 일제고사로 인한 사건과 같이 학생과 교육방침과의 충돌이 일어났을 때 좀 더 학생과 교사들의 입장에 서서 그 의견을 전해 줄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 이를 위해서 열심히 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을 것이고, 승진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것이다.

20년 후 모습 이때는 나는 잠시 교사가 아닌 교직원으로서 아이들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연구하고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앞에서 말했듯 나는 아이들이 자신의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교육을 하고 싶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지적하고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를지에 대하여 끝임 없이 연구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많은 외국의 좋은 교육방침에 대해서도 강연을 듣고 직접 가서 보고, 듣고, 느끼고 온 후 우리나라에 맞게 변형시켜 적용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30년 후 모습 난 다시 교사로서 돌아와 아이들과 함께 지내고 싶다. 내가 많이 연구한 것들 중 실현 시키지 못한 좋은 것들을 아이들이 조금이나마 경험해 보게 해주고 싶다. 또 아이들이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싶다. 내가 초등학교 3학년 때 자연을 배울 때 직접 뒷산에 올라가서 편마암 등 교과서 상에서만 보던 것들을 직접 보고 관찰 해봤던 기억이 있다. 아이들과 함께 산에 올라가며 우정도 쌓고 피어있던 꽃에 대해서도 알게되고 교과서로 배운 것들도 직접 관찰 해 볼 수 있어서 매우 좋았었다. 따라서 나도 교사로 돌아와 아이들이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수업을 해보고 싶다. 그리고 아이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고, 아이들과 소통 할 수 있는 선생님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30년 후 까지의 내 모습을 상상해 보면 ‘노력’이란 단어가 참 많이 나온다.

내 교직생활을 뒤 돌아 봤을 때, 나의 제자가 나를 떠올렸을 때 ‘스스로 끝임없이 노력하는 교사, 진심어린 사랑을 아낌없이 준 교사’ 로서 기억 될 수 있도록 그렇게 열심히 살고 싶다.

'비전 선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교육과 장한슬   (0) 2009.05.31
컴퓨터교육과 성미경  (0) 2009.05.31
국어교육과 유일혁   (0) 2009.05.31
컴퓨터교육과 김원진  (0) 2009.05.31
컴퓨터교육과 강진주  (0) 200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