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시절, 중학교 시절, 고등학교 시절 모두 나의 꿈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었다. 초, 중, 고 시절 모두 나에게 교사로서의 꿈을 심어주신 선생님들이 한분씩 계셨고, 그 선생님들처럼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미래에 선생님이 될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대학교 학생으로서, 나의 교사로서의 비전을 생각해보면 초, 중, 고 학창시절에는 그저 내가 좋아하는 선생님을 보고, 그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을 뿐, 나의 적성이나, 훗날 내가 선생님이 돼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생각해보지 않았던 것 같다. 물론, 그 방향 속에는 내가 존경하는 학창시절 선생님들의 모습도 들어가 있다. 하지만 그저 그 선생님들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교사로서의 비전과 방향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우선은 나만의 교사로서의 길을 택한다 하더라도 내가 존경하는 선생님들의 특성을 본받으며 나의 방향을 정하고 싶다. 내가 본받고 싶었던 선생님들은 자신들의 권위를 앞세우지 않았지만, 학생들의 존경을 받았고, 공부를 가르치는 일에서도 실력이 뛰어나 아이들의 존경을 받았다. 존경하는 선생님들의 특성을 잘 생각해보고, 나 나름대로, 교직에 서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니 대략적인 나의 교사로서의 말과 행동 등이 잡혀갔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대학에 들어왔고, 이 생각들을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바로 첫 교생 실습이었다. 그 전에 아이들을 가르쳐보기도 하였고, 짧은 기간동안 과외도 해보았지만 이번 경우는 사뭇 다른 경우였다. 한두명에게 그저 공부만을 가르치던 것과 30명이 넘는 아이들을 하루 수 시간동안 다루고 공부를 시키는 것이 같을 리가 없었다. 하지만 나의 고민은 비단 이 것뿐만이 아니었다. 학창시절동안 계속 가져왔던 교사라는 꿈. 교생 실습을 통하여 이런 나의 꿈을 향한 열정이, 교생 실습을 통하여 더욱 불이 붙을 수도 있겠지만, 사그라들 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에 왠지 두렵기도 하였다. 하지만 교생 실습은 나름대로 성공적이었고, 비록 짧은 일주일 기간이었지만 나에겐, 그동안 가져왔던 교사로서의 나만의 생각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교사가 되겠다는 나의 꿈에 활력을 불어 넣어 준 좋은 경험이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을 직접 접해보고 나니, 아이들이 너무나 귀엽고 순수하고 좋았다는 것이다. 아이들 중에는 좋은 성향을 가지고 올바르게 커 가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약간은 어긋나 있는 아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모두들 순수하고, 제대로 잘 이끌어 주는 사람만 있다면 모두 올바르고 예쁘게 자랄 아이들이었다. 실습을 계기로, 나는 정말 바람직하고 올바른 길잡이가 되어서 이 순수한 아이들을 반드시 좋은 길로 이끌어주는 그런 교사가 되고 싶었고, 이를 이루기 위하여 교육대학교에서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고 있는 중이다.
앞으로 5년 후면 나는 교육대학교에서의 교육을 모두 받고 임용고시를 보고 선생님이 되어 있을 것이다. 그 때는 아무리 교육을 받고 오고, 생각해 오던 것이 있다고는 하지만, 현장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장에 나보다 먼저 들어오신 연륜이 있는 선배 선생님들의 조언을 잘 듣고, 어서 적응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대학 시절 실습 기간에는 교생 선생님이었지만, 이제는 엄연히 교직에 서 있는 선생님이 되었으니, 앞으로 선생님으로서의 나의 행실과 본분에 대하여 끊임없이 생각하고 실천해 나갈 것이다.
10년 후에 나는 이제 어느 정도 학교 생활에 대하여 적응을 했을 것이다. 물론 그 전에도 그렇지만 이 시기에는 구체적인 아이들의 교육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심오하게 생각을 해 볼 것 같다. 석사 박사 과정을 통해 배운 것들과 학창 시절 존경했던 선생님들의 교육 방법과 그동안 내가 배우고 갈고 닦아왔던 모든 것들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펼칠 때가 온 것이다. 우선 말 한마디 한마디를 아끼며 아이들이 생각하기에도 정말 옳을 것 같은 행동만을 할 것이다. 아이들이 옳지 못한 행동을 하여 혼낼 때에도 무엇을 잘못하였는지를 꼭 인식하게 하고, 벌을 줄 때에는 다음부터는 절대 이런 잘못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따끔하게, 벌 받는 것을 무서워하도록 체벌을 할 것이다. 다음으로 아이들에게 상담을 자주 해주고 싶다. 아이들은 자신을 이해해주고 친근한 선생님, 친구 같은 선생님을 원한다는 결론을, 교생실습을 통하여 내렸다. 비록 많은 시간을 내진 못하더라도 꼭 하루에 한명씩이라도 잠깐 몇 분이라도 시간을 내어서 재미있는, 친근한, 선생님보다는 친구와 대화는 것 같은 그런 상담을 해주고 싶다. 다음으로는 공부 방법이다. 초등학교 선생님에게는, 아이들에게 공부도 중요하지만 인성 교육을 해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선생님으로서 아이들의 믿음을 받기 위해서, 또한 아이들의 장래를 위해서는 공부를 가르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교육대학교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쉽게 가르치는 방법 등을 현재 배우고 있고, 교사가 되었을 때에는 그러한 방법들을 모두 익혔을 것이다. 나 나름대로 터득하고 익힌 방법들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아, 저 선생님은 우리에게 정말 모든 것을 알고 쉽게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야.” 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싶다. 이 후 20년 후에는 이제 나도 초등학생, 혹은 중학생정도 되는 자녀를 두고 있을 것이다. 이제 선생님이기도 하지만 아이의 부모로서, 전보다는 더욱 아이들을 이해하고 좋은 가르침을 주는 데에 능숙할 것이다. 이 시기에는 반 아이들의 학부모들과의 많은 소통과 이야기를 통하여 이젠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교육도 내가 신경을 써줄 것이다. 또한 가끔은 학부모들의 가르침을 받아 학교에서 적용하며, 아이들 한명 한명의 특성을 더욱 잘 파악할 것이다. 30년 후에는 그동안 살아오며 쌓아온 기술들을 활용하여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교육 봉사를 하고 싶다. 교육 봉사를 해 보고서, 집안 사정이 되지 않지만 정말 올바른 교육이 필요한 아이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 비단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그런 아이들을 찾아다니면서 나를 필요로 하는 아이가 있는 곳을 찾아서 아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