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하고 싶어서 교대에 갈 거야.”라고 입학 전까지는 당당하게 말을 하고 다녔었다. 그때의 나는 내가 아이들을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초등교사가 나에게 잘 어울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교사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하니까 그것들을 배우고 새로운 경험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다. 교육과 관련된 봉사활동도 하며 많은 경험을 할 것이라는 다짐을 했지만 그 다짐은 입학과 동시에 사라졌다. 신입생 환영회, 여러 행사들로 놀기만 했던 것 같다. 솔직하게 일학년 교생실습 또한 나에게 그렇게 큰 의무부여를 해주지 못했다. 스스로 “어떤 교사가 될까?”라는 고민을 하지 않고 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활동도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무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알바도 하면서 많은 경험들을 했었다. 이번 교사의 비전 과제를 통해 그 동안 내가 느끼고 배운 것들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어떤 노력들을 해야 하는지 고민해보겠다.
나는 “좋은 교사”의 기준이 잘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교사는 계속 공부를 해야 하고 똑똑해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물론 교사에게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아이들과의 친밀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초등교사는 다른 교사들보다 학생들의 인격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가 먼저 아이들을 배려해주며 친밀한 분위기를 형성한다면 아이들은 사람간의 관계를 쌓는 방법에 대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교사와 학생간의 친밀감이 형성되면 그 이후의 모든 것들은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 같다. 하지만 학생들과 친밀감을 쌓는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것 같지는 않아서 고민을 많이 해야 한다. 교생 실습을 통해 선생님들이 학급 분위기를 잘 형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신 다는 것을 알았다.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권위를 유지하며 좋은 분위기를 형성하셨다. 나는 교사가 되어서 아이들에게 가장 먼저 “존중”을 가르칠 것이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습관을 기르게 할 것이다. 학급 규칙으로 친구들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기. 나쁜 말 사용하지 않기 등의 규칙을 만들어서 익숙하게 할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어린 아이들은 그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다. 그래서 조금은 강압적 일지 몰라도 이러한 존중이나 배려하는 방법들은 아이들이 처음에 규칙으로 인식을 해서 지키면서 습관화 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사의 특징으로 전문성을 이야기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교사는 꾸준히 공부하고 자신의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야 한다. “좋은 수업”이란 모든 아이들이 자신의 이해 단계에 맞게 학습하는 것은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교사가 진행하는 일방적인 수업방식은 뒤처지는 아이들이 생기고 이 방식은 교사가 발전하려는 노력을 안 해도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사는 항상 뒤처지는 아이들 없이 각자의 단계에 맞게 배우고 이해하는 과정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분석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3학년 때 배우는 과목들에서 많은 것들을 배웠다. 일방적인 교육방법이 아닌 거꾸로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육방법을 알게 되었고 재구성 과제를 통해 생각보다 교육과정이 완벽하지 않은 것을 느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지도서 그대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탐구하고 아이들이 재밌게 배울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분위기를 형성해서 잘 가르치는 선생님” 당연한 말인데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 이렇게 고민해도 교사가 되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고 내가 잘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심하고 좌절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내가 지금 배운 것들 그리고 앞으로도 경험해서 배울 것들을 모두 종합하고 고민해서 내가 하고자하는 수업을 할 것이고 내가 되고자 하는 교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