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대에 진학하였었지만 교대에 진학하길 원해서 반수를 시도하였고, 성공하여서 전주교대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교대 진학을 선택한 이유는 나의 적성과 흥미가 교사에 어울리는 이유는 아니었다. 나는 아이들을 많이 좋아하거나 아이들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직업의 안정성과 시간, 돈에 매력을 느껴서 교대에 입학하기를 원하였었다. 그러나 교대에서 3년과 교육 봉사 그리고 교육 실습을 경험하면서 아이들에게 열정적으로 준비하지 않고 현실적인 요인만 생각하면서 다가가면 내가 학창시절에 만났던 교사들 중 선호하지 않았던 교사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나는 장차 어떤 교사가 되어야하는가?’라는 질문에 많은 고민을 가졌고, 그것에 대한 해답을 완벽하게 내린지는 못했지만 내가 되고 싶은 ‘바람직한 교사상’을 정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나는 학생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교사가 될 것이다. 나는 초등학교 생활이 학생들이 성장해 사회에 진출을 할 때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을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인성적인 측면에서도, 지식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심어주어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성장에 도움이 줄 수 있는 교사가 되고 싶다. 이러한 완벽한 교사가 되기는 힘들겠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의 단점을 최대한 개선해 나아가면 아이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사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열린 마음으로 수업에 대한 평가를 받으며 수업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두 번째로, 모든 아이들을 차별하지 않고 사랑하는 교사가 될 것이다. 실습, 교육봉사 등 현장에서 바라본 아이들은 교사의 말을 잘 듣는 아이, 장난을 많이 치는 아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아이, 체육에 관심이 많은 아이 등 제각기 다른 색을 가지고 있었다. 아이들은 개개인 모두 다른 다양한 사회 환경을 경험해왔고, 그에 따라 다양한 생각을 가지게 된다. 모든 아이들을 차별하지 않고 사랑하는 교사가 되려면 이런 다양한 사회 환경을 경험한 아이들에 관하여 열린 생각을 가지고 공감하며, 학생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나는 아이들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며, 학생들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질 것이다.
세 번째로, 아이들을 공감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칭찬해줄 수 있는 교사가 될 것이다. 아이들을 칭찬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가지려면 한 아이에 관하여 진짜 그 아이의 성향이나 특성에 관하여 진심 어린 눈으로 꾸준히 바라봐주어야만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에 대한 진심 어린 칭찬과 공감은 한 아이에게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불러온다. 따라서 나는 앞서 말한 학생들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태도에 더불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칭찬을 많이 하는 태도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내가 생각한 세 가지 교사상에 가깝게 다가가기 위하여 나는 항상 위 세 가지의 교사상과 다짐을 잊지 않고 노력하며 나아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