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책)

<사회과교육의 이해: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미래 교육 대비 (4판). 2023년

미래 교육 2023. 3. 19. 14:58

작년 12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이 고시되면서, 사회과에 많은 과목이 신설되고,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방식도 많이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미래 교육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OECD, P21. WEF 등은 미래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미래 핵심 역량을 4가지( 4Cs)로 요약해서 제시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혁명으로 미래 사회가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최근 미래 교육이 화두가 되고 있다. 미래 사회는 지식의 기억보다는 컴퓨터와 인공 지능(AI)이 하기 어려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민의 역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새로 개정된 2022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변경 내용을 설명하고, 최근 강조되는 미래 교육과 미래 핵심 역량을 반영한 사회과 교육의 방향 등을 고민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래 교육 관련 최신 이론들을 반영하여,사회과교육의 이해다시 개정하여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사회과교육의 이해(4)에는 임용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미국과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발전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특히교수요목기부터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사회과 편제와 과목의 변화를로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임용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교수 방법 및 평가 관련 내용에 대하여, 모경환ㆍ차경수 교수의 책(사회과교육, 동문사)과 유명한 외국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한 권의 책으로 임용시험을 충실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내용을 업그레이드하여 구성했습니다.

 

부록에 최근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을 분석하고, 답안지의 작성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예비 교사가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데 실제적인 도움과 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회과교육의 이해: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미래교육 대비(4).

2023. 교육과학사

 

차 례

1장 사회과의 개념 / 9

1. 사회과의 역사 ·····················9

2. 사회과의 개념 정의 ··················18

3.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 ···············20

 

2장 사회과의 발전 과정 / 25

1. 미국 사회과의 발전 과정 ···············25

2. 한국 사회과의 발전 과정 ···············44

 

3장 사회과의 목표 / 65

1. 사회과의 목표: 시민의 역량 육성 ·········· 65

2. 사회과의 목표 분류 ·················69

3. 우리나라 사회과의 목표 ···············74

 

4장 사회 변동과 사회과교육의 변화 / 77

1. 세계화와 지역화 시대: 다중 시민성의 교육 ··········· 77

2.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회의 변화: 지식에서 핵심 역량으로 ····81

3. 민주 사회의 위기와 시민교육의 강화: 인성 교육, 민주시민교육 ··90

 

5장 사회과의 분과 영역 / 97

1. 지리 교육 ······················97

2. 역사 교육 ······················101

3. 정치 교육 ······················105

4. 법 교육 ·······················109

5. 경제 교육 ······················112

6. 사회문화 교육 ··················· 115

차례

6장 사회과의 이론적 접근 / 119

1. 사회과의 전통과 이론적 관점 ·············119

2. 시민성 전달 모형 ·················· 126

3. 사회과학 모형 ····················132

4. 반성적 탐구 모형 ·················· 138

 

7장 사회과 교육과정의 조직 원리와 조직 유형 / 147

1. 환경 확대법 ······················148

2. 개념 중심 나선형 교육과정 ···············151

3. 통합적 접근법 ·····················157

4. 교육과정의 지역화 ···················168

5. 사회과 교육과정의 조직 유형 ··············170

6.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177

 

8장 미래 교육과 사회과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 199

1. 미래 교육과 미래 시민 역량 ···············200

2. 교사 중심 교육 패러다임 ················203

3. 학생 중심 교육 패러다임 ················207

 

9장 사회과에서 지식의 교육 / 213

1. 사회과의 목표로서 지식의 이해 ·············214

2. 사실 학습 ·······················214

3. 개념 학습 ·······················216

4. 일반화 학습 ······················225

5. 협동 학습 ·······················228

 

10장 사회과에서 사고 기능의 교육 / 237

1. 사회과의 목표로서 고차적 사고력의 발달 ·········237

2. 고차적 사고력의 의미와 유형 ··············240

3. 탐구 학습 ·······················249

4. 문제 해결 학습 ···················· 251

5. 의사 결정 수업 ···················· 255

6. 논쟁 문제 수업 ···················· 259

7. 비판적 사고력 교육 ··················265

8. 창의적 사고력 교육 ··················267

 

11장 사회과에서 가치의 교육 / 271

1. 사회과의 목표로서 가치 교육의 발달 ···········271

2. 가치 주입 ·······················275

3. 가치 명료화 ······················278

4. 가치 분석 ·······················282

5. 가치 탐구 ·······················285

6. 도덕적 추론 ······················288

 

12장 사회과에서 행위의 교육 / 293

1. 사회과의 목표로서 행위의 교육 ·············293

2. 현장 학습 ·······················294

3. 체험 학습 ·······················298

4. 시민 행동 교육 ···················· 303

 

13장 사회과의 평가 / 307

1. 사회과의 평가 방법 ·················· 307

2. 사회과의 평가 방식의 전환 ···············317

3. 사회과의 수행평가 ···················320

 

14장 사회과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 329

1. 사회과 교사의 역할 ···················329

2.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334

3. 수업 비평과 수업 성찰 ················· 341

 

15장 사회과의 과제와 통합적 교육 / 345

1. 민주 시민 교육 ·····················345

2. 다문화 교육 ······················ 351

3. 인권 교육 ······················· 357

4. 미디어 교육 ······················ 364

5. 인성 교육 ······················· 369

 

부록: 임용시험 문제 분석 및 해설 /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