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시절 교육대학교에 대한 생각을 떠올리면, 안정된 직업을 가질 수 있고 어디 가서 부끄럽지 않을 정도로 말할 수 있는 학교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사실 고등학교 땐 교대를 올 성적이 못됐던 터라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재수를 했지만 원래 가고 싶었던 대학 입학에 실패하면서 성적에 맞춰 선택을 하게 되었고, 그 선택이 전주교대였다. 성적에 맞춰 정신없이 지원하고 입학하였기에 교대생으로서, 예비 초등교사로서 가져야할 목표나 비전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어떤 목표나 비전을 가지고 나가야할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초등학생 때 나의 모습은 말 그대로 천방지축, 개구쟁이였다. 초등학교 시절 생활기록부를 보면 산만하다, 시끄럽게 떠든다 등의 말이 써져있는데 그 정도로 어렸을 때 친구들이랑 노는 것을 좋아했다. 하지만 단순히 노는 것을 좋아했을 뿐인데, 선생님들한테는 공부 안하는 말썽쟁이 학생으로서 혼난 적도 많았고, 심한 체벌을 받은 적도 있었다.
기억에 남는 선생님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선생님인데, 그 분은 ‘싹수가 노랗다.’ 라는 말을 많이 쓰며 마치 나와 친구들의 미래가 보인다는 듯이 말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나의 첫 번째 교사로서 비전은 학생들의 미래를 확정짓지 않는 교사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든 변할 수 있고 그러한 가능성이 무한하다. 그렇기에 미래를 확정 짓지 않는 교사가 되지 않고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항상 바라보는 교사가 되고 싶다.
두 번째 교사로서 비전은 다양한 일을 경험해보고 다재다능한 교사가 되는 것이다.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가정 이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며, 자연스럽게 그 시간 속에서 아이들의 가치관이 형성된다. 다양한 생각들과 다양한 가치관을 아이들은 가질 것이고 그에 따라 미래에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미래에 대한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 때 교사가 여러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들의 재능이나 능력을 알아봐준다면 단순히 남들이 하니깐 하는 공부대신 아이들은 잘할 수 있는 것, 재미있어 하는 것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 같다.